티스토리 뷰
공황장애의 의미?
공황장애는 심한 불안이 엄습해 각종 수반되는 신체적 증상이 예고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과거에는 공황장애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요즘은 많은 연예인과 연예인들이 공황장애를 겪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그 병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공황은 공포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데, 이것을 영어로는 '패닉'이라고 한다. 공황의 어원은 그리스 신화에서 시작된다. 그리스 신화인 판( pan)은 반인륜의 나무꾼으로, 성격이 매우 사나워 대낮에 낮잠이 방해될 때 인간과 가축에게 공포와 공포를 심어주었기 때문에 '패닉(panic)'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1.공황장애의 역사
공황장애가 현대 의학에서 심장, 신경계 또는 다른 내과 질환으로부터 분리되기까지 거의 150년이 걸렸다. 공황장애 환자에 대해 가장 먼저 기록한 사람은 J. A. 호프, 영국의 심장전문의. 그의 1832년 심장학 교과서는 신경성 심장마비를 가진 환자들을 묘사하고 있다.
• 환자에게서 공포와 불안보다 더 나쁜 것은 없었다. 그는 공포로 몸서리치는 기질 심장병으로 죽을 것이라는 터무니없는 상상을 했다. 환자의 증세를 유발하는 신경증적 질환으로 인한 우울증과 절망감이 그의 상상력을 더욱 부채질했기 때문에 환자의 생각은 떨쳐 버리기가 매우 어려웠다.
1871년 미국의 군의관 제이콥 멘데스 다코스타는 남북전쟁에 참전했던 병사들 중 일부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 심장에 통증, 호흡곤란 등을 겪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코스타는 병사들이 실제 심장질환이 없다는 이유로 '불가침한 심장'이라고 이름 붙였지만 극단적인 활동이나 잦은 흥분으로 심장에 민감한 자율신경계 이상이었다. 이는 이후 전쟁을 통해 더욱 알려지게 되었고, "다코스타 증후군" 또는 "솔디에의 심장" 또는 "에포르트 증후군"으로 불렸다.
이러한 증상은 1940년이 되어서야 불안 반응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져 의사가 아닌 정신과 의사가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정신 질환이 되었다.
이후 공황장애는 공통적인 불안 증상으로 취급되고 있으며 도널드 클라인에 의해 만성적인 불안과는 별도로 치료되고 있다.
클라인은 최근 항우울제로 쓰이는 이미프라민을 임상시험 중 환자에 대한 공황발작 감소를 발견했으며, 우울증이나 다른 정신질환 증상과 무관하게 공황증상이 발생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로 인해 공황발작으로 알려진 새로운 종류의 질병이 발생했는데, 만성적인 불안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또 공황발작의 정체성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접근방식이 실험을 통해 취해져 피츠 등의 젖염 주사를 통해 공황발작을 유도하고 있다.
2. 공황장애란 무엇인가?
설령 의학적 상태가 아니더라도 갑자기 놀라거나 극도의 불안 상태에 빠졌을 때 흔히 '환상'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우리가 이야기할 공황 발작은 갑작스런 기습과는 조금 다르다.
공황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오는 갑작스런 공포다. 따라서 공황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누구에게나 정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신체의 반응이다.
그러나 공황발작은 특별히 위협적인 것은 아니지만 신체의 경보 시스템이 오작동하고 위협을 느끼는 병적인 증상이다.
예를 들어 밤에 혼자 외로운 길을 가다가 칼을 든 강도를 본다고 상상해보자. 머리칼이 곤두서고, 눈이 왕방울처럼 커지며, 입을 크게 벌리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을 헐떡이며, 손발이 떨리면서 모두들 '나는 죽었다'는 엄청난 공포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사실 위험한 상황에서의 불안은 우리 자신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극한 상황에서 불안감을 느끼지 않으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중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불안의 일차적인 목적은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험하거나 불안감을 느껴야 할 상황이 아니라면 일상생활에 뒤처지지 않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